석사논문연구 |
Research for the Master's Degree |
제출한 학위청구논문계획서를 토대로 논문 발표를 위한 자료를 만드는 지식을 습득하며 논문을 작성하여 완성시키는 기술을 연마한다. 논문 발표를 위한 자료제작에서는 논문의 핵심 내용을 강조하는 방법과 화면상으로 나타나는 내용의 표현 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최종 완성된 논문을 만들기 위하여 서론, 본론, 결론의 전개 방법과 각 부분의 표현 기법 및 논문 작성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을 익힌다. |
노인체육복지개론 |
Introduction to Gerokinesiology |
노인체육과 복지라는 개념은 최근 북미지역에서 활발히 접목되고 있다. 노인인구집단의 신체활동을 통해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질적인 노인인구집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여 노인체육복지학에 대한 기본 개념을 학습한다. |
노인체육복지 세미나Ⅰ |
Colloquia for Gerokinesiology & WellnessⅠ |
노인체육복지학의 선진지역인 북미지역을 비롯하여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을 학습하고, 이에 기반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토론 및 논의함으로써 노인체육복지학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다른 학문과의 연계점을 찾아 노인체육복지학에 접목해봄으로써 노인체육복지학의 스펙트럼을 넓힌다. |
노인체육복지 세미나Ⅱ |
Colloquia for Gerokinesiology & WellnessⅡ |
노인체육복지학의 선진지역인 북미지역을 비롯하여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을 학습하고, 이에 기반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토론 및 논의함으로써 노인체육복지학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또한 다른 학문과의 연계점을 찾아 노인체육복지학에 접목해봄으로써 노인체육복지학의 스펙트럼을 넓힌다. |
환경과 지역사회 건강 |
Environment & Community Health |
사회생태학적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신체활동은 자신의 의지만이 아닌, 타인, 조직, 커뮤니티, 정책 등에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이는 노인들의 저조한 신체활동 참여의 원인을 지역사회에서 찾는 것으로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노인인구집단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안한다. |
뉴테크놀로지와 노화 |
Tech-Driven Health Interventions |
최근 노인인구집단의 신체활동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테크놀로지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테크놀로지가 노인인구집단에게 적절한 것은 아니다. 다양한 테크놀로지들을 직접 경험해 봄으로써 노인인구집단에게 활용될 수 있는 신체활동 및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노인병리학과 스포츠 |
Pathology &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인구집단은 다양한 만성질환을 경험하게 된다. 심근경색, 만성신부전, 암, 뇌졸중 등의 노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인구집단에게 적절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신장한다. |
노년사회학 |
Sociology for older adults |
사회학에서 이론은 현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렌즈(lens)이다. 다양한 이론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인구집단의 사회적 행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실버산업론 |
Silver Industry |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확대로 전통적인 가족의 노인부양 기능이 크게 약화되어 노령자를 위한 복지서비스 공급에 시장원리가 적용된 실버산업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불어 활기차게 노후를 즐기려는 노인세대가 우리 소비사회의 새로운 주역으로 등장하게 되었기에,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실버산업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노인체육 프로그래밍 |
Designing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
노인인구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이 아니라 매우 이질적인 인구집단이다. 특히 개개인의 건강상태, 심리상태 등에 의해 노인들의 신체활동 참여는 달라지게 된다. 이에 노인체육을 프로그래밍해 봄으로써 이론과 실무의 간극을 좁히고 궁극적으로는 활용가능한 노인체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노인여가지도론 |
Leisure for Older Adults |
노인인구집단은 이질적인 인구집단으로 이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여가를 즐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들 인구집단의 여가 선용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시도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노인들의 여가형태를 이해하고,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여가지도법을 익힌다. |
노인체육질적연구 방법론 |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Older Adults |
노인인구집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적연구 뿐만 아니라 질적연구(qualitative inquiry)를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 근거이론, 민속지학, 현상학, 사례연구 등의 기법들을 통해 노인인구집단을 질적으로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연구방법을 학습한다. |
사회복지양적연구방법론 |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Social Welfare |
사회복지학 및 human service 분야에서의 양적 연구에 초점을 두어 연구방법상 핵심적인 기초가 되는 통계 개념에서부터 실제 통계 프로그램을 통한 자료 분석 방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방법에의 적용 방법을 학습한다. 연구단계에 맞추어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과학적 연구방법으로 찾는 연습과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 package(SPSS, Amos 등) 활용도 함께 수행한다. 양적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logcclsic regression, Path Analysis,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등의 이론적 개념 및 가정과 실제 사용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하게 된다. |
사회복지정책론 |
Social Welfare Policy |
사회복지정책은 일반적으로 국민들에게 서비스와 소득을 제공함으로써 국민복지에 영향을 주는 정부의 정책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특히 노인, 장애인, 빈곤층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한 정부정책의 체계 및 내용 등을 학습하여 거시적 수준에서의 사회복지에 대한 안목을 기르도록 한다. |
사회문제론 |
Social Problems |
사회문제를 이론적으로 접근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한국사회의 대표적인 문제들 각각을 분석하여 사회적 예방대책 및 해결대책을 연구함과 아울러 구체적 사회문제 분석에 대한 연구과제를 수행한다. |
사회복지행정론 |
Social Welfare Adminstration |
행정학 이론을 바탕으로 사회복지행정의 제반이론을 체계화하고, 아울러 효과적인 사회복지행정의 실현을 위하여 조직, 인사, 정책, 재무 등의 관점에서 사회복지학을 강의한다. |
지역사회복지론 |
Community Welfare |
지역사회 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양식과 그와 관련된 실천기술을 다룬다. 이 과목을 통하여 빈곤, 소외, 차별 등 지역사회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게 되며 그 해결을 위한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론을 연구하게 된다. 이로써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전문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배양하고 향상시키게 된다. |
사회복지조사론 |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
연구방법론의 기초개념 및 이론을 배우고, 나아가 서베이, 욕구조사, 실험연구, 단일사례연구설계 및 프로그램 평가 등을 위한 조사방법의 설계방식과 자료수집 기법 등을 배우는 것이 이 과목의 핵심내용이다. 이로써 사회과학 분야 및 사회복지분야의 가장 과학적인 방법론을 습득하게 되며 이로부터 좀더 전문적이고 고수준의 연구방법론을 이해하는 기초를 수립하게 되는 것이다.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사회를 설명하는 제반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하여 실천기술, 기법, 지침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에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
사회복지법제론 |
Social Welfare and Laws |
사회복지정책이나 제도는 법률적 근거에 기초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사회복지관련법규들에 존재하는 사회복지의 개념 및 가치, 목적, 원리, 한국적 특징을 이해하며, 나아가 이들 법규의 제정과정 및 그 범위, 구조 등을 파악하여 사회복지정책 및 제도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한다. |
사회복지현장실습 |
Social Work Practicum |
사회복지학 교육이 다른 학문분야의 교육과 차별화되는 특성을 나타내는 과목으로 사회복지학의 응용과학적 측면을 반영하고, 실천교육으로 적합한 사회복지 실무현장에 학생들을 배치하여 1주일에 하루(8시간)를 실제로 사회복지기관에서 교육받도록 한다. 서비스의 기획, 전달, 평가하는 과정에 참여하고 사회복지기관 수퍼바이저의 지도와 학교 실습교수의 지도를 통해 실질적인 업무를 익히도록 한다. |
비영리기관운영관리론 |
Managemen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
최근 사회복지의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는 국제기구, 비영리조직, 환경운동이나 시민운동 등과 같은 Social Action에 대한 관심의 증가 속에서 비영리기관의 의미와 성격 그리고 한국사회에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다룬다. |
가족치료 |
Family Therapy |
현대사회에서 여러 가지 사회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에 대한 보다 높은 수준의 임상적 개입을 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족치료의 이론과 이를 실제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즉, 보웬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 해결중심치료 등의 이론에 근거한 가족 사정 및 개입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